건설초급기술자 경력수첩 역량지수 올렸던 방법
건설초급기술자 경력수첩
역량지수 올렸던 방법을
자세하게 공유해볼게요!

건설산업기본법의 변화로
모든 구간에서 현장대리인은
필수적으로 필요로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현장대리인 할때는
설계 시공, 사업 관리, 품질 관리로
나뉘어져서 경력수첩이 필요하죠
보통은 초급부터 필요로 한다니
자신이 갖고 있는 경력과 자격증과
최종학력에 맞춰서 역량지수부터
산정해야만 등급이 어떻게 나올지
제대로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점수가 부족했고
그러니 어떻게 개선하는지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는 것이 필요했어요

그래서 이번에 경력수첩 발급부터
역량지수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STEP_01
건설초급기술자
발급 및 승급 조건
먼저 등급은 총 네 가지로 나누는데
초급 중급 고급 특급으로 구분해요!
▶ 초급 : 35점
▶ 중급 : 55점
▶ 고급 : 65점
▶ 특급 : 75점
그러면 이제 역량지수가 무엇인지를
제대로 알아보는 것이 필요로 하니깐

역량지수가 어떻게 나뉘는지부터
자세하게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STEP_02
건설초급기술자
역량지수란?
역량지수도 똑같이 네 가지로 나뉘고
각자마다 자신이 해당되는 부분에서
점수를 받는 방식이었어요
▶ 학력지수 : 20점
→ 4년제졸 : 20점
→ 3년제졸 : 19점
→ 2년제졸 : 18점
→ 관련고졸 : 15점
→ 비전공자 : 10점
▶ 자격지수 : 40점
→ 기술사 : 40점
→ 기능장/기사 : 30점
→ 산업기사 : 20점
→ 기능사 : 15점
→ 자격증X : 10점
▶ 경력지수 : 40점
→ 40년 : 40점
→ 5년 : 17.45점
→ 4년 : 15.03점
→ 3년 : 11.91점
→ 2년 : 7.52점
→ 1년 : 0점
▶ 교육지수 : 5점
→ 건설기술교육원 주관
1회 35시간 교육을 이수한다면
역량지수 1~2점을 취득합니다!
(다만, 유효기간은 3년까지에요)
저는 4년제 졸업자라 역량지수를
20점을 받는 게 가능하다고 봤어요
그런데, 관련학과가 아니라고 해서
비전공자 10점 + 자격증 없이 10점
이렇게만 갖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 때문에 앞으로 어떻게 하는지부터
여러가지 방법을 알아봐야만 했어요
#STEP_03
건설초급기술자
개선 하던 방법은?
저는 경력이 1년 미만이라 점수로는
0점이었고 나머지 15점을 어떤식으로
개선하는지가 여러모로 걱정되었어요
제가 대학교를 다시 가기엔 직장다니니
다시 대학교에 편입하면서 다니기에도
여러모로 난감하고 부담스러웠습니다
그래서 온라인 수업으로 할 수 있었던
방법을 찾는 도중에 학점은행제라는
교육제도를 찾아보았어요
사실상 학점은행제가 무슨 제도인지
이걸로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 활용해
역량지수 개선이 가능한지 걱정됐어요
다행이도 학점은행제는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교육제도라서 학위취득시
교육부 장관명의 학위를 받았습니다
여기서 한국건설기술인협회에서
역량지수 계산하는 곳이 있는데
직접 기입해보니까 학력지수로
인정받는 게 가능한걸 확인했죠
저 같은 경우에는 비전공자라서
학교 다닐때 복수전공 처럼 전공만
들어도 학위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전공 48학점으로 건축공학
학사학위를 취득하는 게 가능했죠
그 다음에 수업이랑 과제 시험이나
직접 가지 않아도 온라인 수업으로
효율적으로 해결 할 수 있었습니다

나중에 총 금액들도 확인을 해보니
대학교 등록금 20% 정도로 부담없이
진행할 수 있었던거 같아요
#STEP_04
건설초급기술자
총 소요기간은?
이렇게 생각해보니까 원래라면
최소 4년이상 걸리던 과정에서
온라인 수업과 학점인정 자격증을
하나 병행해서 빨리 마무리했어요
▶ 고등학교 졸업자 : 최소 4학기
▶ 전문대 졸업자 : 최소 2학기
▶ 대학교 졸업자 : 최소 2학기
보통 2학기면 1년 정도 걸린거니까
생각보다 빠르게 마무리 했었어요
대신에 학은제가 연간이수제한에서
1년동안 42학점만 이수가 가능해서
저는 소방안전관리자2급 자격증으로
6학점을 대체해서 가능했었습니다.

저 처럼 준비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시작전에 전문가에게 물어본 후에
안전하게 시작하는 게 필요할거같아요
#STEP_05
건설초급기술자
어떻게 시작하나요?
아무래도 어디서 어떻게 물어보면서
시작하는지가 여러모고 관건이었죠.
제가 전혀 모르는 제도로 시작하려니
여러모로 답답하고 걱정이 되었어요
그래서 저는 전문가에게 물어보고
시작하는 게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스터디어스 전문튜터에게 부담없이
대화부터 하면서 필요한 방법이랑,
과정에 대해서 솔루션 제공받았고
지속적이고 끊임없는 관리와 도움으로
제가 원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었어요
그러니, 만약에 과정이 필요한다면
언제든지 전문가와 물어본 다음에
효율적으로 시작하는게 중요하다 봅니다
복잡한 행정절차,
어려운 시험준비,
답답한 과제준비,
막막한 학습설계 등등
개인적으로 궁금하고 걱정됐던건
모두 해결하고 시작하길 권장해요

언제든지 부담없이 전문튜터와 함께
자세하게 물어보고 시작해보는건 어때요?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은제 군연기 : 왜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고 있을까? (3) | 2025.04.05 |
---|---|
도시계획기사 자격요건 : 공기업 연봉협상 & 승진 준비한다면 (1) | 2025.04.04 |
건축현장대리인 건설기술인 경력수첩부터 취득해야 하죠! (4) | 2025.04.03 |
건설안전관리사 : 건설안전기사 자격요건 충족해서 자격증 취득 (3) | 2025.04.02 |
한국건설기술인협회 중급 경력수첩 고졸 비전공자 학력개선부터! (2) | 2025.04.02 |